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조회 수 1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예수님께서 제자들의 기운을 북돋워 주기 위해 흥미로운 말씀을 하십니다. "너희 가운데 두 사람이 이 땅에서 마음을 모아 무엇이든 청하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 이루어 주실 것이다." 예수님의 이 말씀을 단순화 시켜서 표현해 보자면, "하느님께서는 열심히 기도하고 청하는 것을 이루어 주신다."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정말 그런가?", 또는 "몇몇이 모여서 열심히 기도하고 청하기만 하면 다 이루어주시는가?"라는 의문을 품어봅니다. 달리 표현해 보자면, "하느님이라는 분은 당신께 열심히 기도하고 청하기만 하면 청하는 이가 원하는 것을 전부 다 곧이곧대로 이루어 주시는 분인가?"라는 질문입니다. 만일 이런 의문이나 질문의 취지에 동의한다면, "너희 가운데 두 사람이 이 땅에서 마음을 모아 무엇이든 청하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 이루어 주실 것이다."라는 예수님의 이 말씀이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다시 점검하고 살펴 보아야 합니다. 

 

예수님께서 오늘 제자들에게 전하신 이 말씀의 진의가 무엇인지는, 사살상 이 말씀과 동일한 내용을 언급하는 복음서의 다른 구절들에서 발견되어집니다. 

첫 번째로, 마태오 복음서에서 이런 말씀이 발견되어집니다. "너희가 악해도 자녀들에게는 좋은 것을 줄 줄 알거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야 당신께 청하는 이들에게 좋은 것을 얼마나 더 많이 주시겠느냐?" 여기에서 예수님께서는 청하는 이에게 청하는 바로 그것을 준다라고 이야기 하지 않습니다. "좋은 것을 더 많이 주신다."라고 이야기 합니다. 

두 번째로, 마르코 복음서에서는 이런 내용을 발견합니다. "너희가 기도하며 청하는 것이 무엇이든 그것을 이미 받은 줄로 믿어라. 그러면 너희에게 그대로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에서 기도하고 청하는 사람의 뜻이 성취되어지기 위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 사항이 "믿음"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될까 안될까' 이리저리 간을 보면서 잔머리를 열심히 굴리며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라,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생각하고 처신하라는 이야기입니다. 

세 번째로, 루카 복음서에서는 이렇게 이야기 되어집니다. "너희가 악해도 자녀들에게는 좋은 것을 줄 줄 알거든,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서야 당신께 청하는 이들에게 성령을 얼마나 더 잘 주시겠느냐?" 여기에서도 하느님이라는 분은 원하는 것을 원하는 것 그대로 이루어 주시는 분이라고 소개되지 않습니다. 대신 당신께 청하며 기도하는 이들에게 성령을 주신다라고 이야기 합니다. 이를 달리 표현해 보자면, 성부이신 하느님께서는 당신께 청하는 이들에게 필요하다라고 생각되어지는 것을 이루어 주고 도와주실 성령이신 하느님을 약속하신 것입니다. 

 

우리들이 신앙하는 하느님은, 당신께 청하는 이들이 원하는 것을 원하는 방식대로 내어주는 그런 분이 아닙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청하기도 전에 나에게 그리고 우리들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이미 알고 계시는 분이시며, 당신이 필요하다라고 생각하는 것을 당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청하기도 전에 베풀어 주시는 분입니다. 이것을 교회는 "하느님의 은총"이라고 표현하고, 신앙인들은 이런 "하느님의 은총"이라는 것을 믿는 자들입니다. 

하느님의 은총은 인간이 관리, 조절, 제어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이것은 오로지 하느님 당신에게 속하는 것이고, 인간은 그저 이미 베풀어진 은총에 대하여 감사하고, 앞으로 하느님께서 당신의 뜻에 따라 당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베풀어 주실 은총을 겸손되이 받아들일 준비를 할 수 있을 뿐입니다. 

 

하느님은 자판기가 아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 할라나 블리츠는 누구인가? - 「연옥맛」, 닐 기유메트 신부 글, 성바오로 출판사 2018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9.02.03 172
60 코로나 극복을 위해 성모님께 바치는 기도 2 (묵주기도 후)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20.05.02 120
59 축복받은 훼방꾼 - 닐 기유메트 신부 <내 발의 등불> 2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10 177
58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2018년 1월 1일 루카 2,16-21 서정범 2017.12.27 122
57 주님 공현 대축일 2018년 1월 7일 마태오 2,1-12 서정범 2017.12.30 114
56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20.06.24 216
55 임금들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20.04.27 56
54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낼까요? - 「새로운 시작, 부활이 왔다!」, 안드레아 슈바르츠, 바오로딸 2019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9.03.20 138
53 욥의 기도 2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11.13 162
52 욥의 기도 1 - 「부르심받은 이들의 부르짖음」 한님성서연구소, 정태현 지음(가톨릭출판사) 1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11.09 152
51 예수와 바리사이주의 1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20.04.19 126
50 예수와 대사제들 3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20.04.17 127
49 예수부활대축일을 맞이하여 시 한편 소개,,, 서정범 2017.04.14 172
48 예수님께서 아버지라 부르시는 분 1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20.06.24 86
47 예수,마리아,요셉의 성가정 축일 2017년 12월 31일 루카 2,22-40 서정범 2017.12.27 111
46 연중 제3주일미사 강론(2017.1.22) 김정태 2017.01.22 307
45 연중 제32주간 주일 2017년 11월 12일 마태오 25,1-13 서정범 2017.11.11 116
44 연중 제2주간 주일 2018년 1월 14일 요한 1,35-42 서정범 2017.12.30 216
» 연중 제23주간 주일 2017년 9월 10일 마태오 18,15-20 서정범 2017.09.10 136
42 연중 제17주간 주일 2017년 7월 30일 마태오 13,44-52 서정범 2017.07.29 12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