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조회 수 1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동방에서 온 박사들이라고 불리우는 이들이 아기예수님을 만납니다. 이들이 누구인지에 대한 여러가지 해석들이 있지만, 그 중 가장 설득력있는 해석은, 이스라엘 민족이 아닌 이방인으로서 천문학을 연구하는 학자 또는 점성술가들이었다라는 것입니다.

 

동방에서 왔다라는 이 사람들과 아기예수님의 만남에 대하여 이탈리아 라벤나의 주교 크리솔로고는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오늘, 동방 박사들은 그들이 뭇 별들 가운데 빛나는 별처럼 찾았던 그분이 구유에서 울고 계신 것을 찾아냅니다. 오늘 동방 박사들은 그 전에 별들 가운데 희미하게 보였던 그분이 환히 나타나 포대기에 싸여 계신 것을 봅니다. 오늘, 동방 박사들은 자신들 앞에 누워 계신 신비를 바라보고 몹시 놀랐습니다. 땅에서 하늘을, 하늘에서 땅을, 하느님 안에서 사람을, 사람 안에서 하느님을 보고, 또 온 우주가 담을 수 없는 그분이 어린아기의 작은 육신 안에 들어가 계신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그들은 어린아기를 보고 나서 의심을 품지 않고 그를 믿으며, 그 믿음을 세 가지 상징적 선물로 보여 주고, 유향으로 하느님을, 황금으로 임금님을, 몰약으로 죽음의 운명에 놓여 있는 사람을 고백합니다. 그래서 오늘, 맨 끝이었던 이방인은 맨 첫째가 되었습니다. 동방 박사들의 신앙으로부터 이방인들의 신앙이 비롯되기 때문입니다."

하느님을 모르는 이방인들인 동방박사들을 아기예수님께 이끈 것은 그들이 품었던 "호기심"이었습니다.

옛 예언에 근거하여 이스라엘이라는 민족을 이끌게 될 통치자가 정말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의문과 호기심이 그들을 아기예수님께로 이끕니다.

그리고 이 호기심은 사람이 되신 하느님이라는 신앙의 내용을 알아듣도록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이들은 사람이 되신 하느님이라는 이 신앙의 내용에 대하여 의심을 품지 않고 믿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들의 믿음을 구체적인 행위, 즉 세 가지 상징적인 선물을 통하여 드러냅니다.

그리고 마침내 하느님을 모르는 이 이방인들의 신앙고백으로부터 이스라엘 민족이 아닌 지금 우리들의 신앙이 비롯되어집니다.

 

동방 박사들이라고 불리우는 이들과 아기예수님의 만남에서 엿볼 수 있는 이 내용들을 요약해 보자면, 호기심이라는 것이 신앙의 내용을 알 수 있도록 이끌어 주고, 이 신앙의 내용은 믿음을 가져오며, 이 믿음은 구체적인 행위로 드러나야 한다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지금 우리들에게 중요한 이유는, 이 동방 박사들의 신앙으로부터 이방인들, 즉 우리들의 신앙이 비롯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방인들인 동방 박사들이 아기예수님을 만났습니다. 이들을 아기예수님에게로 이끈 것은 "호기심"이었고, 이 호기심이 그들에게 하느님에 대한 신앙의 내용들을 알려주었으며, 이 신앙의 내용들에 대한 그들의 고백이 마침내 그들을 신앙인으로 만들어 주었습니다.

따라서 하느님에 대한 호기심 없이 신앙인이 될 수 있는 자는 없습니다. 그리고 이미 신앙인이라 불리우고 있는 자라 하더라도 그가 더 이상 하느님에 대하여 궁금해 하지 않고, 하느님에 관한 것들에 대하여 더 알고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면, 그는 스스로 "신앙생활이라는 것을 하고 있는 신앙인이다"라고 착각하며 살아가는 "가짜 신앙인"입니다.

신앙인이 신앙하는 하느님은 죽은 하느님이 아니라 살아있는 하느님입니다. 바로 이 살아있는 하느님에 대하여 더 이상 호기심을 가지지 않는 신앙인은 살아있는 신앙인이 아니라 죽은 신앙인입니다. 그리고 죽은 신앙인이 신앙 할 수 있는 하느님은 죽은 하느님이며 살아있는 하느님이 아닙니다. 따라서 살아있는 하느님에 대하여 호기심을 가지지 않는 사람은 신앙인이 될 수 없습니다.

 

 

살아있는 하느님을 살아있는 방식으로 신앙하는 자가 바로 살아있는 신앙인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 할라나 블리츠는 누구인가? - 「연옥맛」, 닐 기유메트 신부 글, 성바오로 출판사 2018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9.02.03 172
60 코로나 극복을 위해 성모님께 바치는 기도 2 (묵주기도 후)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20.05.02 120
59 축복받은 훼방꾼 - 닐 기유메트 신부 <내 발의 등불> 2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10 177
58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2018년 1월 1일 루카 2,16-21 서정범 2017.12.27 122
» 주님 공현 대축일 2018년 1월 7일 마태오 2,1-12 서정범 2017.12.30 114
56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20.06.24 216
55 임금들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20.04.27 56
54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낼까요? - 「새로운 시작, 부활이 왔다!」, 안드레아 슈바르츠, 바오로딸 2019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9.03.20 138
53 욥의 기도 2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11.13 162
52 욥의 기도 1 - 「부르심받은 이들의 부르짖음」 한님성서연구소, 정태현 지음(가톨릭출판사) 1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11.09 152
51 예수와 바리사이주의 1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20.04.19 126
50 예수와 대사제들 3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20.04.17 127
49 예수부활대축일을 맞이하여 시 한편 소개,,, 서정범 2017.04.14 172
48 예수님께서 아버지라 부르시는 분 1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20.06.24 86
47 예수,마리아,요셉의 성가정 축일 2017년 12월 31일 루카 2,22-40 서정범 2017.12.27 111
46 연중 제3주일미사 강론(2017.1.22) 김정태 2017.01.22 307
45 연중 제32주간 주일 2017년 11월 12일 마태오 25,1-13 서정범 2017.11.11 116
44 연중 제2주간 주일 2018년 1월 14일 요한 1,35-42 서정범 2017.12.30 216
43 연중 제23주간 주일 2017년 9월 10일 마태오 18,15-20 서정범 2017.09.10 136
42 연중 제17주간 주일 2017년 7월 30일 마태오 13,44-52 서정범 2017.07.29 12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