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2018.08.21 15:41

거룩한 표징 - 손

조회 수 1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 몸은 그 전체가 영혼의 도구이며 표현이다. 영혼은 제집에 들어앉아 있는 사람처럼 그저 몸 안에 머물고만 있는 게 아니라 지체 하나하나에서 속속들이 작용한다. 영혼은 몸의 모든 선과 자태와 움직임에서 드러난다. 그 중에서도 얼굴과 손은 영혼의 뛰어난 도구이며 거울이다.

  얼굴에 대해서는 더 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손을 살펴보자. 자기 자신을 보나 남을 보나 기쁨, 놀람, 기대 등 내심의 희로애락을 손도 나타내준다. 때에 따라서는 말보다도 손짓 하나가 더 많은 것을 말해 주지 않는가. 입으로 하는 말이 어떤 경우엔 말없는 손짓보다도 거칠어 보인다. 얼굴 다음으론 손이 몸의 가장 정신적 부분이라 하겠다. 일하는 도구로서, 또 공방의 무기로서 튼튼하고 강하기도 한가 하면, 곱고 마디마디 날래고 더없이 민감하게 생긴 것도 손이다. 실로 인간이 자신의 혼을 표출할 수 있는 그릇이라 하겠다. 또 남의 혼을 받아들이는 그릇이기도 하다. 남을 받아들이는 것도 손으로 하기 때문이다. 신뢰와 반가움과 공감과 고통이 담긴 손을 마주 잡는다는 것은 바로 남의 혼을 맞는 일이 아닌가.

  그러고 보면 영혼이 할 말 또는 들을 말이 특별히 많은 데일수록 손도 그만큼 더 많은 표현을 찾을 수밖에 없다. 영혼이 스스로를 바치면서 기도중에 하느님을 모시려는 마당에서는 더욱 그렇다.

  명상에 잠겨 영혼이 하느님과 홀로 머물 때면 마치 밖으로 흘러넘치려던 마음의 샘물이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거쳐 다시 안으로 흘러들어가 하느님과 함께 머물게라도 할 듯 손과 손이 절로 깍지낀다. 이것은 자신을 거두어들이는 동작, 숨어 계신 하느님을 간직하는 동작이다. "하느님은 내 하느님, 나의 하느님의 것, 그리고 우리는 안에 함께" 머문다는 표현이다. 무슨 큰 어려움이나 아픔 같은 것이 안으로부터 북받쳐 터져나오려 할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손에 손이 얽히면서 영혼은 자신을 다스려 가라앉힐 때까지 그 안에서 몸부림친다.

  그러나 겸손하고 경건한 마음가짐으로 하느님 앞에 서는 자는 두 손을 펴서 마주 대어 합장한다. 수신(修身)과 숭배를 말하는 자세이다. 겸손하고 차분하게 말씀을 아뢰는 한편 귀담아듣는 경청의 자세이다. 자기 방위에 쓰이는 손을 고스란히 묶어서 하느님 손 안에 바치는 것은 항복과 봉헌의 표시이기도 하다.

  때로는 영혼이 환희와 감사에 넘쳐 하느님 앞에 활짝 피어 노래를 부르는 적도 있다. 또한 그리움에 못이겨 부르짖는 수도 있다. 그럴 때면 우리는 두 손과 팔을 펴듦으로써 그 심정을 호소하기도 하고 애타는 마음을 축이기도 한다.

  아니면 자기 자신의 존재와 소유 모두를 모아 제 손으로 하느님께 조촐한 희생의 제물로 바치는 때도 있다. 이럴 경우에 인간은 손과 팔을 가슴 위에 십자가 형상으로 얹게 된다.

  손의 말이란 참으로 아름답고 위대한 것이다. 하느님이 우리에게 손을 주신 것은 우리가 "그 안에 영혼을 들고 다니기 위해서"라고 교회는 말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거룩한 언어인 이 손을 존중하지 않을 수 없다. 손은 영혼의 내밀을 말해준다. 그러나 또한 마음의 해이와 잡념과 그밖에 좋지 못한 것도 드러낸다.

  그렇다. 손을 바로 지녀야겠다. 그리고 내 속마음이 밖으로의 표현인 손과 일치하도록 힘써야겠다.

  생각해보면 찔리는 말이기도 하다. 하기에도 거북한 소리이다. 그럴수록 더욱 귀담아듣고 지켜야 하지 않겠는가. 손이 한갓 허영의 노리개가 되어서야 쓰겠는가. 하느님이 주신 몸이 영혼의 뜻을 진실로 밝혀주는 언어가 되어야겠다.

 

거룩한 표징 - 로마노 과르디니 


  1. No Image 21Aug
    by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8/21 by 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 102 

    거룩한 표징 - 손

  2. No Image 18Aug
    by 김신부
    2018/08/18 by 김신부
    Views 129 

    거룩한 표징 - 십자성호

  3. 거룩한 표징 - 로마노 과르디니(장익주교 옮김)

  4. No Image 30Dec
    by 서정범
    2017/12/30 by 서정범
    Views 217 

    연중 제2주간 주일 2018년 1월 14일 요한 1,35-42

  5. No Image 30Dec
    by 서정범
    2017/12/30 by 서정범
    Views 116 

    주님 공현 대축일 2018년 1월 7일 마태오 2,1-12

  6. No Image 27Dec
    by 서정범
    2017/12/27 by 서정범
    Views 123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2018년 1월 1일 루카 2,16-21

  7. No Image 27Dec
    by 서정범
    2017/12/27 by 서정범
    Views 113 

    예수,마리아,요셉의 성가정 축일 2017년 12월 31일 루카 2,22-40

  8. No Image 21Dec
    by 서정범
    2017/12/21 by 서정범
    Views 134 

    대림 제4주간 주일 2017년 12월 24일 루카 1,26-38

  9. No Image 11Nov
    by 서정범
    2017/11/11 by 서정범
    Views 119 

    연중 제32주간 주일 2017년 11월 12일 마태오 25,1-13

  10. No Image 10Sep
    by 서정범
    2017/09/10 by 서정범
    Views 137 

    연중 제23주간 주일 2017년 9월 10일 마태오 18,15-20

  11. No Image 29Jul
    by 서정범
    2017/07/29 by 서정범
    Views 130 

    연중 제17주간 주일 2017년 7월 30일 마태오 13,44-52

  12. No Image 06Jul
    by 서정범
    2017/07/06 by 서정범
    Views 140 

    연중 제13주간 주일 2017년 7월 2일 마태오 10,37-42

  13. No Image 13Jun
    by 서정범
    2017/06/13 by 서정범
    Views 189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2017년 6월 18일 요한 6,51-58

  14. No Image 11Jun
    by 서정범
    2017/06/11 by 서정범
    Views 161 

    부활시기의 끝 그리고 연중시기의 시작에서

  15. No Image 14Apr
    by 서정범
    2017/04/14 by 서정범
    Views 173 

    예수부활대축일을 맞이하여 시 한편 소개,,,

  16. No Image 28Mar
    by 서정범
    2017/03/28 by 서정범
    Views 188 

    사순 제5주간 주일 2017년 4월 2일 요한 11,1-45

  17. No Image 23Mar
    by 서정범
    2017/03/23 by 서정범
    Views 193 

    사순 제4주간 주일 2017년 3월 26일 요한 9,1-41

  18. No Image 16Mar
    by 서정범
    2017/03/16 by 서정범
    Views 181 

    사순 제3주간 주일 2017년 3월 19일 요한 4,5-42

  19. No Image 09Mar
    by 서정범
    2017/03/09 by 서정범
    Views 193 

    사순 제2주간 주일 2017년 3월 12일 마태오 17,1-9

  20. No Image 03Mar
    by 노인과바다
    2017/03/03 by 노인과바다
    Views 244 

    사순 제1주간 주일 강론 2017년 3월 5일 마태오 4,1-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