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조회 수 13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미사가 시작되었다. 사제는 제대 앞에 서 있다. 신자들과 복사는 각기 제자리에서 "전능하신 하느님과 형제들에게 고백하오니, 생각과 말과 행위로 죄를 많이 지었으며 자주 의무를 소홀히 하였나이다. 제 탓이요, 제 탓이요, 저의 큰 탓이옵니다..." 하고 기도를 올린다. 그리고 "탓"이라는 말이 나올 때면 가슴을 친다.

 

  인간이 제 가슴을 친다는 것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가.

 

  한번 실제로 느껴보자. 하지만 느끼려면 옳게 쳐봐야 안다. 그저 옷 위를 손가락 끝으로 톡톡 두드리는 식으론 아무 소용이 없다. 주먹을 쥐고 가슴을 제법 쳐야 한다. 예로니모 성인이 사막에서 무릎을 꿇고 손에 돌을 움켜쥐고 가슴을 때리는 그림을 본 사람도 혹시 있을 것이다. 분명 타격이지 그저 멋있는 몸짓은 결코 아니다. 

 

광야의 예로니모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광야의 성 예로니모 - 레오나르도 다빈치)

 

우리 내심세계의 대문을 두드려 열어젖히는 동작이다. 이렇게 해야 비로소 그 의미를 알 수가 있다. 본래는 생명과 빛과 힘과 활력에 가득한 세계인 터이다. 그러나 실제로 그 안은 어떤 상태에 놓여 있는가. 온갖 의무, 애로, 결단 등 절실한 요구로 가득하다. 그러면서도 그 안에 별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다. 죄책도 더러 쌓여 있지만 그다지 마음에 거리끼지를 않는다. "우리는 삶의 한가운데에서도 죽음에 둘러싸여 있다"고는 하나, 별로 실감이 안 난다.

 

  이런 상황에서 하느님의 음성이 우리를 부른다. "깨어 일어나라. 네 사정을 살펴라. 정신 차려라. 마음을 돌려라. 참회하라"고. 가슴을 치는 동작은 바로 이런 부르심을 대신해 준다. 가슴을 뚫고들어가 그 안의 세계를 경각하여 깨워 일으키고 눈을 뜨게 하여 하느님을 향하게 한다.

 

  이 내심의 세계가 일단 제 정신이 들면 자신이 그 얼마나 "제 탓으로 제 탓으로 제 큰 탓으로" 성실한 삶에서 벗어나 하느님의 계명을 어기고 본분을 잊었던가를 보게 된다. 이렇게 죄책에 묶이고 보면 나갈 길이라곤 "하느님과 성도 공동체에 생각과 말과 행위로 많은 죄를 얻었나이다." 하고 여지없이 고백하는 수밖에는 없다. 그러면 내심이 하느님 편을 들어 스스로를 단죄하게 된다. 자신에 대해 하느님이 생각하시듯 그렇게 생각하게 된다. 자신의 죄에 분노하여 자신을 침으로써 벌하는 것이다.

 

  인간이 제 가슴을 친다는 것은 결국 이런 것을 의미한다. 자신을 깨워 내심의 세계를 경각함으로써 하느님의 부르심을 듣게 한다. 하느님 편에 서서 자신을 벌한다. 한마디로 성찰과 참회와 회두(회개)를 의미한다.

 

  그러기에 사제, 신자 할 것 없이 제대 앞에서 죄를 고하면서 가슴을 치는 것이다. 또 성체를 모시기에 앞서 "주님, 제 안에 주님을 모시기에 합당치 않사옵니다." 하면서 성체를 우러러볼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기도문을 바치면서 "주님, 죄인을 들어 허락하소서" 하고 우리 죄과를 고할 때에도 그렇다.

 

  우리는 가슴을 칠 때 그 근엄한 본뜻을 잊지 말자. 뉘우치는 마음에 자성과 자책을 독촉하는 행위임을 늘 명심하자.

 

 거룩한 표징 - 로마노 과르디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 거룩한 표징 - 손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8.21 102
40 거룩한 표징 - 장궤(허리를 꼿꼿이 세우고 꿇어앉음)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8.23 102
39 거룩한 표징 - 기립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8.25 149
38 거룩한 표징 - 걸음 1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8.28 108
» 거룩한 표징 - 가슴치기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8.30 130
36 거룩한 표징 - 층계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01 105
35 거룩한 표징 - 문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03 90
34 거룩한 표징 - 초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05 91
33 거룩한 표징 - 성수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07 118
32 축복받은 훼방꾼 - 닐 기유메트 신부 <내 발의 등불> 2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10 183
31 거룩한 표징 - 불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11 117
30 서로의 선물 1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14 107
29 거룩한 표징 - 거룩한 시간 (아침) 1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17 179
28 거룩한 표징 - 거룩한 시간 (저녁)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18 93
27 거룩한 표징 - 거룩한 시간 (낮)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20 92
26 관대한 연인 1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27 120
25 거룩한 표징 - 제대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09.30 77
24 거룩한 표징 - 제포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10.04 159
23 거룩한 표징 - 하느님 이름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10.09 120
22 욥의 기도 1 - 「부르심받은 이들의 부르짖음」 한님성서연구소, 정태현 지음(가톨릭출판사) 1 김아우구스티노신부 2018.11.09 16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