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조회 수 4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제대는 갈바리아 산이다.

성 알퐁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미사 성제를 바치는 것보다 더 거룩하고 더 위대한 일은
하느님께서도 하실 수 없으시다."

어째서 그러한가? 미사 성제는 그리스도의 강생과 구속 사업을
종합적으로 요약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미사는 예수님의 탄생, 수난과 죽으심,
즉 하느님께서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행하시는 모든 신비를 포함하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가르쳤다.
"우리 구세주께서는 당신께서 배반당하시던 밤 최후의 만찬중에,
당신의 살과 피로써 감사의 제사(미사성제)를 제정하셨으니,
이는 당신이 재림하시는 날까지 십자가의 제사를 영속화 하고...(전례헌장 47항)

그보다 일찍 교황 비오 12세께서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가르침을 주셨다.
"골고타의 제대는 우리 성당의 제대와 다름이 없다. 성당 안의 제대 또한 골고타처럼
하나의 산이며, 그 위에 십자가가 세워져 있고, 하느님과 인간들 사이의 화해를 위하여
십자가에 못박힌 분이 계신다."

성 토마스 데 아퀴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미사 성제를 바치는 것은 십자가 상에서
예수님께서 죽으셨던 것과 같은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이유로 아씨시의 성 프란치스코는 "사제의 손을 통하여 하느님의 아드님께서
제대에 내려오실 때, 인간들은 두려움에 떨며, 세상은 진동하고,
천국 전체가 깊이 감동해야 한다." 라고 하였다.

참으로 미사 성제는 예수님의 수난과 죽으심의 희생을 재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느님의 정의로우신 진노를 누그러뜨리기에 충분하다.
그러기에 성 알베르토는 "하느님의 모든 진노와 분노가
미사의 봉헌 앞에서 풀어진다." 라고 기록했던 것이다.

예수의 성녀 데레사는 수녀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미사 성제가 없다면, 우리는 어떻게 되겠습니까? 지상의 모든 것이 멸망하고 말 것입니다.
오직 미사성제만이 하느님의 진노의 팔을 붙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사 성제가 없다면, 교회는 분명히 지속될 수 없을 것이며,
세상은 희망없이 좌초할 것이다.
성 알퐁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는 "미사가 없다면,
지구는 사람들의 죄로 인하여 오래 전에 이미 파괴되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비오 신부는 "세계가 태양 없이 존속하는 것은 세상이
미사 성제 없이 존속하는 것보다 쉬울 것이다." 라고 하였다.
이 말씀은 "만약 미사가 없다면, 세상은 이미 그 내부의 사악함으로 인하여
깊은 구렁 속으로 침몰되고 말았을 것이다.
미사는 세상을 떠 받들고 있는 강한 힘이다."라고 했던 르 모리스의 성 레오나르도의
사상과도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 성체성사에서 만나는 예수님의 사랑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 01월 24일 | 십계명 중 세 번째 계명은 “주일을 거룩히 지내라”입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015
52 01월 23일 | 십계명 중 두 번째 계명은 “하느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마라”입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146
51 01월 22일 | 십계명 중 첫 번째 계명은 “한분이신 하느님을 흠숭하여라”입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288
50 01월 21일 | 교회는 복음을 전파할 필요성과 의무를 아울러 갖습니다 하비안네 2010.08.09 943
49 01월 20일 | 교회는 온 인류를 불러 모으시는 노아의 방주와 같다 하비안네 2010.08.09 1730
48 01월 19일 | 타 종교들에 대해서도 교회는 그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012
47 01월 18일 | 아직 복음을 받아들이지 못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109
46 01월 17일 | 정교회는 주님의 성찬을 공동으로 거행할 만한 완전성에 도달하고 있다 하비안네 2010.08.09 1018
45 01월 16일 | 모든 사람들은 하느님 백성의 보편적 일치를 이루도록 부름을 받았습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072
44 01월 15일 | 보편교회가 지역교회의 연합체는 아닙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326
43 01월 14일 | 교회란 그리스도의 능력으로 하나이요, 공번되고 거룩하며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조직이다 하비안네 2010.08.09 1200
42 01월 13일 | 가톨릭이란 말은 보편적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하비안네 2010.08.09 1494
41 01월 12일 | 신자들은 죄를 극복하고 성스러워지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039
40 01월 11일 | 교회는 성화의 길을 가야하는 죄인들을 불러 모읍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111
39 01월 10일│교회는 지상에서 참된 성스러움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045
38 01월 09일│교회는 거룩한 백성들의 무리입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158
37 01월 08일│일치를 위해 온 교회가 힘을 쏟아야 합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027
36 01월 07일│교회의 일치는 그리스도께서 처음부터 주신 것입니다 하비안네 2010.08.09 913
35 01월 06일│주님 공현 대축일 하비안네 2010.08.09 976
34 01월 05일│교회는 그들을 형제적 존경과 사랑으로 받아들입니다 하비안네 2010.08.09 1039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Next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