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조회 수 7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런던의 주 장관인 길버트 베케트(Gilbert Becket)와 마틸다(Matilda)의 아들로 태어난 성 토마스 베케트는 노르만족의 후손이다. 그는 런던에서 출생하여 서리(Surrey)의 머튼 프리오리(Merton Priory)에서 수학했으며, 런던에서는 법률을 공부하고 파리 대학교에서도 그의 전문 과목을 계속 연구하였다. 부친의 사망으로 궁핍한 환경으로 내몰린 그는 1141년에 캔터베리의 대주교관으로 들어갔다. 이때 테오발드(Theobald) 대주교는 성 토마스 베케트가 이탈리아의 볼로냐(Bologna)와 프랑스의 오세르(Auxerre)에서 법률을 공부하도록 조처해 주었다.

  그는 1154년에 부제로 서품되었다. 이때부터 그는 테오발드 대주교의 명을 받고 로마(Roma)를 오가면서 중요한 일들에 관여하였다. 1155년 성 토마스 베케트는 헨리 2세 왕에 의하여 잉글랜드(England)의 수상으로 임명되면서 국왕 다음의 실권자가 되었다. 그는 헨리 2세를 수행하여 프랑스 툴루즈(Toulouse)로 원정을 나갈 때에는 부대장도 맡았다. 1161년 테오발드 대주교가 서거하자 헨리 2세는 성 토마스 베케트를 캔터베리의 대주교로 임명하였다. 물론 그는 이 직책을 완강히 거부하였다. 1162년 그는 수상직을 사임한 후 사제품을 받고서 대주교로 착좌하였다.

  이때부터 그는 자신의 생활을 완전히 바꾸어 엄격한 생활을 시작하였다. 1166년 성 토마스 베케트는 소위 '클라렌든 칙령'을 거부하였는데, 이 법은 교회 법정에서 행해야 할 성직자의 권리와 교황청에 호소하는 권리를 부인하는 악법이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성 토마스 베케트는 프랑스로 축출되었다. 성 토마스 베케트는 이 사실을 교황에게 상소하였지만 헨리 2세와 반목하기를 원치 않았던 알렉산데르 3세(Alexander III) 교황은 그를 지원하지 않았다. 이처럼 헨리 2세와 성 토마스 베케트가 반목하고 있을 때, 성 토마스 베케트는 교황의 제안에 따라 프랑스 퐁티니(Pontigny)의 시토회 수도원으로 들어갔다. 1166년 헨리 2세가 자신의 영향권 내에 있는 지역에서 모든 시토회 회원들을 추방하겠다고 위협할 때, 성 토마스 베케트는 상스(Sens) 교외의 성 콜룸바(Columba) 수도원으로 가서 프랑스 국왕 루이 7세(Louis VII)의 보호를 받았다. 루이 7세의 노력에 의해 헨리 2세와 성 토마스 베케트는 평화 협정을 맺었고, 비로소 그는 잉글랜드로 귀향할 수 있었다.

  그러나 또 다른 정치적인 사건 때문에 그는 캔터베리 대성당에서 무참히 살해당하였다. 이 사건은 전 유럽을 뒤흔들었다. 성 토마스 베케트는 사망 즉시 순교자로 선포되었으며 교황 알렉산데르 3세가 그를 성인으로 공포하자 헨리 2세는 공적으로 잘못을 고백하기에 이르렀다. 그의 유해가 모셔진 성 토마스 베케트의 경당은 유럽에서 가장 많은 순례자들이 모이는 성지 가운데 하나이다. 그가 남긴 다음의 말은 아주 유명하다. "나는 예수님의 이름으로 그리고 교회를 지키기 위하여 무슨 일이든 기꺼이 행하였다." 영국의 시인 엘리엇(Thomas Stearns Eliot)은 그를 소재로 "대성당의 살인"을 썼다.

가톨릭 성인

사진은 가로 800px, 세로 700px 이하로 줄여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1. 성 토마스 데 아퀴노(Thomas de Aquino) : 1월 28일

    Date2012.01.06 By하비안네 Views933
    Read More
  2. 세라피나

    Date2010.08.01 By하비안네 Views754
    Read More
  3. 클라라

    Date2010.08.01 By하비안네 Views749
    Read More
  4. 대천사 라파엘

    Date2010.08.01 By하비안네 Views1034
    Read More
  5. 성 요셉

    Date2010.08.01 By하비안네 Views637
    Read More
  6.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Date2010.08.01 By하비안네 Views711
    Read More
  7. 프란치스코 보르지아

    Date2010.08.01 By하비안네 Views741
    Read More
  8. 베드로 가니시오

    Date2010.08.01 By하비안네 Views677
    Read More
  9. 아냐시오 로욜라

    Date2010.08.01 By하비안네 Views890
    Read More
  10. 현석문 가롤로

    Date2010.08.01 By하비안네 Views593
    Read More
  11. 홍금주 페르페투아

    Date2010.08.01 By하비안네 Views639
    Read More
  12. 홍영주 바오로

    Date2010.08.01 By하비안네 Views655
    Read More
  13. 홍병주 베드로

    Date2010.08.01 By하비안네 Views626
    Read More
  14. 황석두 루가

    Date2010.07.31 By하비안네 Views611
    Read More
  15. 베드로 파브르

    Date2010.07.31 By하비안네 Views700
    Read More
  16. 성녀 소화 테레사(본당 주보성인)

    Date2009.12.13 By이진기(토마스) Views905
    Read More
  17. 마르코(Mark) : 4월 25일

    Date2009.06.28 By이진기(토마스) Views899
    Read More
  18. 안셀모(Anselm) : 4월 21일

    Date2009.06.28 By이진기(토마스) Views860
    Read More
  19. 안젤라 메리치(Angela Merici) : 1월 27일

    Date2009.06.28 By이진기(토마스) Views803
    Read More
  20. 토마스 베케트(Thomas Becket) : 12월 29일

    Date2009.06.28 By이진기(토마스) Views7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