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새로운 시작, 부활이 왔다

 

 

사순 시기가 되면 한동안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습니다.

 

   어린 시절 고모는 내게 사순 시기 동안에는 절대 단 것을 먹어서는 안 된다고 단단히 일렀습니다. 하지만 부활절을 맞이하기 위해 초콜릿을 포기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체중을 1킬로그램 이상 줄이는 것이 더 낫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사순 시기를 이용해 그렇게 하는 것은 너무 값싸게 비쳤습니다. 이런 시도는 부활 축제보다는 여름 휴가 때 수영복을 입기 위한 것과 더 연관이 있을 테니까요.

 

   ‘40일간 ○○ 없이’, 담배 없이, 알코올 없이, 텔레비전 없이 지내는 운동이 개신교에서 먼저 시작되었다는 것이 무척 흥미롭습니다.

 

   하지만 이것 역시 무거운 짐이고, 해내야 하는 의무처럼 여겨집니다. ‘단식은 포기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애를 쓸수록 그것은 더 이롭게 작용합니다. 이것이 부활 축제, 해방의 축제를 준비하는 제세가 아닐까요? 자신에게 무언가 포기할 것을 명하면서, 때로는 고통을 감내하면서 40일 동안 우리는 생명이 죽음을 물리치고 승리하는 축제를 준비합니다. 충분히 해낼 수 있는 일이지요!

 

   몇 해 전부터 자주 떠올리게 되는 생각이 있습니다. 내가 무엇인가를 더 많이 시작하도록 이끌어 주는 생각입니다. 내 삶은 어떤 특정한 조직 안에서, 특정한 질서 안에서 이루어집니다. 조직과 질서는 유익할 때도 많고, 때로는 살아가는 데 지탱이 되어주기도 합니다.

 

   그런데 조직이라는 것은 고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면 유익하고 든든하게 받쳐주던 것들이 내 삶을 가두는 감옥으로 급변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내가 이루고자 하는 것보다 조직과 질서가 더 중요해지고 그것들은 나를 얽어매는 사실이 되고 맙니다.

 

   이것이 바로 도전입니다. 사순 시기의 본래 의미는 바로 이 도전입니다. 내가 세워놓은 질서를 조금만 바꾸면, 일이 새롭게 진행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질서가 잡힐 수도 있습니다. 내가 세워놓은 질서를 조금만 바꾸면, 조직은 내게 도움이 됩니다. 조식이 압박으로 느껴지지 않습니다. 또한 익숙한 것에 더 이상 갇히지 않게 됩니다. 내가 세워놓은 질서를 조금만 바꾸면, 생명과 활기를 새롭게 불러올 수 있습니다. 하느님께 나아가지 못하게 하는 장애물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포기를 위한 포기, 고통을 위한 고통이 아닙니다. 사순 시기의 관건은 일상에서 내게 도움이 되는 것을 새롭게 연습하는 것, 생기를 되찾아 더 활기차게 되는 것입니다.

 

   일이 많은 사람에게는 하루에 30분간 산책하는 일일 수 있고, 누군가에게는 10분간 짬을 내어 글을 읽거나 성당에 가만히 앉아있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또 어떤 이들에게는 일주일에 하루는 텔레비전을 켜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 다른 사람에게는 한 권이라도 책을 읽겠다고 결심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사순 시기는 자신을 괴롭히거나 고행하는 기간이 아닙니다. 우리는 이 시기 동안 단순히 연습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꿈과 갈망을 조금씩 실행에 옮기면서 자신을 시험해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해방의 축제, 생명의 축제를 지내는 법을 단순하게 연습할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이 시기는 나와 하느님을 갈라놓는 그 무엇을 치우는 기회가 됩니다. 그것은 무언가를 다른 방식으로 실행하는 기회이고, 실제로 무언가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초콜릿과는 아주 다른 요소들이 내 삶에 자리하고 있다는 게 두려웠습니다. 그 때문에 나는 생기를 찾지 못했고, 하느님과도 멀어졌습니다.

 

- 안드레아 슈바르츠

 

 


  1. 연옥 맛

    Date2020.11.02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246
    Read More
  2.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Date2020.06.24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247
    Read More
  3. 예수님께서 아버지라 부르시는 분

    Date2020.06.24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89
    Read More
  4. 코로나 극복을 위해 성모님께 바치는 기도 2 (묵주기도 후)

    Date2020.05.02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124
    Read More
  5. 임금들

    Date2020.04.27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59
    Read More
  6. 본시오 빌라도와 로마인들

    Date2020.04.24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171
    Read More
  7. 예수와 바리사이주의

    Date2020.04.19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141
    Read More
  8. 예수와 대사제들

    Date2020.04.17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146
    Read More
  9. 「영적 성경 해석」, 엔조 비앙키, 이연학 옮김 안소근 해설, 분도출판사 2019

    Date2020.02.16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221
    Read More
  10. "그에게는 내가 모든 것이 되었다" - 「조용한 게 좋아」, 닐 기유메트 성바오로 2019

    Date2019.07.10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234
    Read More
  11. 성모송

    Date2019.05.19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467
    Read More
  12. "교환의 신비"

    Date2019.04.26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671
    Read More
  13. 「뽐내는 나무」, 루안 로체, 성바오로출판사 1991

    Date2019.04.08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142
    Read More
  14.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낼까요? - 「새로운 시작, 부활이 왔다!」, 안드레아 슈바르츠, 바오로딸 2019

    Date2019.03.20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151
    Read More
  15. 빈자리 - 「저 산 너머」 (김수환 추기경 어린 시절 이야기), 정채봉 지음, 리온북스 2019

    Date2019.02.27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292
    Read More
  16. 할라나 블리츠는 누구인가? - 「연옥맛」, 닐 기유메트 신부 글, 성바오로 출판사 2018

    Date2019.02.03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186
    Read More
  17. 동방 박사들의 밤 - 「밤에 대한 묵상」, 김진태 신부

    Date2019.01.01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236
    Read More
  18. 마리아의 기도 2

    Date2018.11.29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152
    Read More
  19. 마리아의 기도 1

    Date2018.11.25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229
    Read More
  20. 루카 복음서 - 안셀름 그륀 신부 『성경이야기』

    Date2018.11.25 By김아우구스티노신부 Views21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