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체 조배를 위한 몸의 자세
성체조배는 성체 안에 계신 예수님과의 마주바라 봄이며 대화이므로
이것은 묵상기도와는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묵상기도 때에 하는 몸과 마음의 자세를 성체 앞에서 취하면 됩니다.
첫째로 몸의 자세는 예수님을 다만 생각하는 자세가 아니라
예수님과 직접 만나서 대화하는 자세, 곧 함께 있으면서 서로 바라보며 만나는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우리의 육안으로 예수님을 뵙는 것이 아니고
신앙을 바탕으로 마음의 눈과 영혼의 눈으로 예수님과 만나서 대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수님을 앞에 모시고 바라뵙는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이 때 눈을 감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성체조배는 우리의 마음으로 주님을 만나 뵙는 일이므로
다른 일체의 사물들을 마음에서 비우고 오직 예수님만 앞에 모시고 뵙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묵상이나 생각을 하는 자세는 예수님과 만나는 자세와는 다릅니다.
예수님과 맛대면하여 서로 마주보는 자세를 취하여야 합니다.
허리와 목을 꼿꼿이 펴고 얼굴을 들어 예수님 앞에서
예수님을 바라뵙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 때 머리를 들지 않고 앞으로 숙이는 것은 생각하는 자세가 되기 쉽고
육체적으로도 훨씬 더 피로한 자세입니다. 머리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머리를 쳐들고
머리가 아래 중심부와 수직이 되도록 하면 힘이 반밖에 들지 않습니다.
이 때 눈을 감은 상태로 예수님을 정면으로 바라뵙는데, 마음으로 예수님이 앞에 계시다고
믿으면서 마음의 눈길을 예수님께 드립니다. 기도는 서로 사랑하는 사람과의 대화이므로
머리를 들고 예수님을 바라 뵙는 것은 결코 겸손이 모자라거나 교만한 자세가 아닙니다.
나를 사랑하시는 예수님을 앞에 가까이 모시고 정면으로 바라 뵙는 것은
오히려 정다운 마주 바라봄이며 만남의 자세입니다. 예수님께서도 나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계십니다. 그리고 가능한 한 일치된 자세를 취하기를 원하십니다.
사실은 예수님께서 멀리 계신 것이 아니라 내 영혼 안에
그리고 내 눈 앞에 가까이 계신 것입니다.
묵상기도와 성체조배 중에서
성체조배는 성체 안에 계신 예수님과의 마주바라 봄이며 대화이므로
이것은 묵상기도와는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묵상기도 때에 하는 몸과 마음의 자세를 성체 앞에서 취하면 됩니다.
첫째로 몸의 자세는 예수님을 다만 생각하는 자세가 아니라
예수님과 직접 만나서 대화하는 자세, 곧 함께 있으면서 서로 바라보며 만나는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우리의 육안으로 예수님을 뵙는 것이 아니고
신앙을 바탕으로 마음의 눈과 영혼의 눈으로 예수님과 만나서 대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수님을 앞에 모시고 바라뵙는 자세를 취해야 합니다.
이 때 눈을 감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성체조배는 우리의 마음으로 주님을 만나 뵙는 일이므로
다른 일체의 사물들을 마음에서 비우고 오직 예수님만 앞에 모시고 뵙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묵상이나 생각을 하는 자세는 예수님과 만나는 자세와는 다릅니다.
예수님과 맛대면하여 서로 마주보는 자세를 취하여야 합니다.
허리와 목을 꼿꼿이 펴고 얼굴을 들어 예수님 앞에서
예수님을 바라뵙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 때 머리를 들지 않고 앞으로 숙이는 것은 생각하는 자세가 되기 쉽고
육체적으로도 훨씬 더 피로한 자세입니다. 머리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머리를 쳐들고
머리가 아래 중심부와 수직이 되도록 하면 힘이 반밖에 들지 않습니다.
이 때 눈을 감은 상태로 예수님을 정면으로 바라뵙는데, 마음으로 예수님이 앞에 계시다고
믿으면서 마음의 눈길을 예수님께 드립니다. 기도는 서로 사랑하는 사람과의 대화이므로
머리를 들고 예수님을 바라 뵙는 것은 결코 겸손이 모자라거나 교만한 자세가 아닙니다.
나를 사랑하시는 예수님을 앞에 가까이 모시고 정면으로 바라 뵙는 것은
오히려 정다운 마주 바라봄이며 만남의 자세입니다. 예수님께서도 나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계십니다. 그리고 가능한 한 일치된 자세를 취하기를 원하십니다.
사실은 예수님께서 멀리 계신 것이 아니라 내 영혼 안에
그리고 내 눈 앞에 가까이 계신 것입니다.
묵상기도와 성체조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