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2009.12.20 15:55

예수성탄 대축일

조회 수 67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예수성탄 대축일

 

 

한  자   예수 聖誕大祝日

라틴어   Sollemnitas in Nativitate Domini

영  어   Christmas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리는 전통적인 기념일. 흔히 ‘크리스마스’로 불린다. 아르메니아 교회들을 제외하고 모든 가톨릭교회와 대부분의 그리스 정교회, 프로테스탄트 교회(개신교)는 이 기념일을 12월 25일에 지킨다. 그러나 예수님의 실질적인 탄생일에 관하여 구약전승과 신약성서에는 기록된 바가 없고, 예수의 정확한 탄생일의 날짜나 교회에서 성탄의 의식(儀式)을 실제로 시작한 시기에 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

 

2세기 말경에 알렉산드리아의 성 글레멘스는 5월 20일의 특별한 축일에 관해 언급하고 있으나 4세기 말까지는 기념일의 의식이 시작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336년, 성탄 축일을 12월 25일로 지키는 관습이 서방교회에 널리 퍼져 있었다. 이는 로마인들의 이교적인 국가 축제일이었던 ‘무적의 태양의 탄신일’(Natale Solis Invicti)을 그리스도교화 시킨 것으로 보인다. 로마에서는 274년, 아우렐리아누스(Aurelianus) 황제 때부터 태양을 최고신으로 공경하여 태양신의 신전을 건립하고 그 건립일 을 축제일로 지정했던 것이다. 이 태양신에 그리스도를 대치시켜 354년 로마의 리베리오 주교는 이날을 성탄으로 판정하여 그해 로마 축일표에 기록했고 5세기 초에 이 날을 예수성탄 축일로 정식 선포한 것이다. 특히 교회는 4세기,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을 부정하는 이단 아리아니즘에 대항하여 성탄축제를 통해 예수님이 하느님의 아들임을 고백하고 정통 교리를 고수하고자 하였다.

 

동방교회에서는 그리스도의 탄생, 동방박사들의 경배, 세례자 요한에 의한 그리스도의 세례 등을 공동으로 기념하기 위한 특별한 예배의식을 채택하여 처음에는 이러한 의식이 ‘주님 공현 축일’(1월 6일)에 거행되었다. 그러나 점차 12월 25일의 성탄 축일이 서방교회에서 동방교회로 퍼져 나가 안티오키아에서는 386년 그리스도의 신성을 반대하는 이단에 맞서 지켜졌고, 콘스탄티노플, 소아시아로 전해져 5세기말에는 대부분이 12월 25일에 예수성탄을 기념하게 되었다. 이집트와 예루살렘은 6세기에 네스토리우스주의와의 논쟁과 관련되어 지켜졌다. 단 아르메니아 교회는 오늘날까지 1월 6일을 성탄일로 지키고 있다.

 

예수성탄 대축일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외에 예수님의 탄생을 단순히 기념한다는 의미보다 연중 다른 기념일과 성인들의 축일에서처럼 완전한 인격과 업적을 축하한다. 즉 이 축일은 인간이 되신 그리스도는 처음부터 하느님의 아들로서의 본질을 갖고 계셨으며 예수님은 이 세상에 주님으로서, 심판자로서 오셨고, 땅과 하늘을 화해시켰음을 고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탄 대축일의 성격은 기쁨과 감사의 축제이다. 중세에는 예수님을 하느님이 인간을 위해 보내 준 중개자라기보다는, 인간 가운데 나타난 영원한 하느님의 아들로 공경했기에 부활절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되기도 하였다.

 

* 하비안네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0-08-01 23:3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신앙 생활의 길잡이 김정태 2009.06.17 1015
24 엠마오 Emmaus 전례음악적 해석 김정태 2009.06.17 1260
23 영성체 후의 감사기도 이진기(토마스) 2009.06.20 1057
22 평신도의 날 이진기(토마스) 2009.11.15 724
» 예수성탄 대축일 이진기(토마스) 2009.12.20 679
20 판공성사 이진기(토마스) 2010.03.22 1475
19 성주간과 부활 이진기(토마스) 2010.03.25 900
18 사순절에 바치는 가정기도 이진기(토마스) 2010.02.10 841
17 성모승천대축일 의미와 유래 이진기(토마스) 2010.08.14 772
16 사순절이란? 이진기(토마스) 2011.03.05 719
15 재의 수요일 (水曜日) 이진기(토마스) 2011.03.05 532
14 천주교와 개신교의 성경 이야기 이진기(토마스) 2014.07.12 409
13 성당에 들어가기 전에 성수를 찍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하비안네 2019.03.21 106
12 입당성가는 행렬이 끝나면 더 이상 부르지 않아도 되지 않나요? 하비안네 2019.03.21 34
11 신부님과 봉사자는 입당한 후 제단에 오르기 전에 인사를 하는데, 어디에 인사를 하는 건가요? 하비안네 2019.03.21 47
10 자비송은 세 번씩 하는데 누구에게 드리는 것인가요? 하비안네 2019.03.21 20
9 대영광송은 언제 하나요? 하비안네 2019.03.21 66
8 본기도 때 주례사제는 ‘기도합시다’하고 나서 잠시 침묵하는데 이유는 무엇인가요? 하비안네 2019.03.21 126
7 판공성사(Confessio Annua) 는 한국교회에만 있는 용어 하비안네 2019.03.21 30
6 삼종기도(Angelus) 하비안네 2019.03.21 31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